2025년 QS 세계 대학 순위가 발표되었습니다. 이번 순위에서는 전 세계 1,500개 이상의 대학이 평가되었으며, 이는 역대 최대 규모입니다.
QS TOP 10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IT) (미국) – 13년 연속 1위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Imperial College London) (영국) – 전년 대비 4계단 상승
옥스퍼드 대학교(University of Oxford) (영국)
하버드 대학교(Harvard University) (미국)
케임브리지 대학교(University of Cambridge) (영국)
스탠퍼드 대학교(Stanford University) (미국)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Eidgenössische Technische Hochschule Zürich, ETH Zurich) (스위스)
싱가포르 국립대학교(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NUS) (싱가포르)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niversity College London, UCL) (영국)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Caltech) (미국) – 전년 대비 5계단 상승
QS TOP 100 한국 대학
서울대학교(Seoul National University): 31위 (전년 대비 10계단 상승)
카이스트(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 53위 (전년 대비 3계단 상승)
연세대학교(Yonsei University): 56위 (전년 대비 20계단 상승)
고려대학교(Korea University): 67위 (전년 대비 12계단 상승)
포스텍(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OSTECH): 98위 (전년 대비 2계단 상승)
한국의 상위 7개 대학 모두 글로벌 순위에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평가 지표의 변화
이번 평가에서는 기존 지표 외에도 지속 가능성(Sustainability), 취업 성과(Employment Outcomes), 국제 연구 네트워크(International Research Network) 등의 새로운 지표가 도입되었습니다. 이는 대학의 종합적인 역량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아시아 대학의 약진
아시아 대학 중에서는 **싱가포르 국립대학교(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NUS)**가 8위로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습니다. 또한, **중국 베이징대학교(Peking University)**가 14위, **싱가포르 난양공과대학교(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NTU)**가 15위에 올랐습니다.
세계 대학 순위를 결정하는 기준
QS 세계 대학 순위는 다음과 같은 지표를 기준으로 평가됩니다:
- 학계 평판(Academic Reputation): 전 세계 학자들의 의견을 반영합니다.
- 교수진/학생 비율(Faculty/Student Ratio): 학생당 교수 수를 통해 교육 환경을 평가합니다.
- 논문 인용수(Citations per Faculty): 연구의 영향력을 측정합니다.
- 고용주 평판(Employer Reputation): 졸업생의 취업 성과를 평가합니다.
- 국제 교수 비율(International Faculty Ratio): 외국인 교수 비율을 반영합니다.
- 국제 학생 비율(International Student Ratio): 외국인 학생 비율을 반영합니다.
- 지속 가능성(Sustainability): 대학의 환경적 지속 가능성을 평가합니다.
- 취업 성과(Employment Outcomes): 졸업생의 취업 성과를 측정합니다.
- 국제 연구 네트워크(International Research Network): 국제 공동 연구 활동을 반영합니다.
2025년 QS 세계 대학 순위는 전 세계 대학들의 경쟁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특히 한국 대학들의 순위 상승은 국내 고등 교육의 발전을 반영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